fnctId=bbs,fnctNo=3251 RSS 2.0 119 건 게시물 검색 제목 작성자 공통(상단고정) 공지 게시글 게시글 리스트 [분자생물실험실] 생식기질환에 대한 새로운 천연 치료제 개발 작성자 왕수하 조회수 37 첨부파일 0 바이오소재과학과 분자생물실험실 황대연 교수님은 부산대학교 이희섭 교수 연구팀과 Basil(Ocimum basilicum L.) 정유의 항산화 및 항균 효능을 규명하고, 주요 생리활성 성분을 밝혀냈습니다. 이번 연구에서 Basil의 전통적 약용 활용 근거를 과학적으로 입증하였으며, 특히, 여성 생식기질환을 유발하는 병원균에 대한 항균 특성을 기반으로 한 천연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였습니다. 해당 연구 결과는 우수성이 인정되어 국제전문 학술지인 Antioxidants에 게재되었습니다. 저자: Minkyoung Park, Jumin Park, Dae Youn Hwang, Sohae Park, Heeseob Lee논문 제목: Antimicrobial Evaluation and Fraction-Based Profiling of Basil Essential Oil against Vaginal Pathogens저널: Antioxidants May 23. (2025) [분자생물실험실] 노화에 의한 인지 저하를 개선하는 치료제 개발 작성자 왕수하 조회수 93 첨부파일 0 바이오소재과학과 분자생물실험실 황대연교수 연구팀이 Humulus japonicus 추출물이 노화로 인한 인지 저하를 개선하는 데 효과적임을 규명하고, 그 작용 기전을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Humulus japonicus 추출물이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AChE) 활성을 억제하여 아세틸콜린 신호 전달을 조절함으로써 인지 기능 저하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노화 관련 인지 저하 개선을 위한 기능성 소재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의 우수성이 인정되어 2025년 3월 Molecular medicine reports에 게재되었습니다. 저자: Kim JE, Min KS, Go J, Park HY, Choi YK, Lee IB, Shin J, Cho HJ, Kim HS, Hwang DY, Oh WK, Kim KS, Lee CH.논문 제목: Water extract of Humulus japonicus improves age?related cognitive decline by inhibiting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and the acetylcholine signaling pathway.저널: Molecular Medicine Reports Mar 21. (2025) [고분자콜로이드실험실] 친수성/소수성 항암제의 동시탑재 및 전달이 가능한 나노에멀젼 개발 작성자 한정우 조회수 102 첨부파일 0 서성백 교수연구팀은 금속-페놀 배위결합을 이용하여 다중(친수성, 소수성에 상관없이) 약물의 동시탑재가 가능하고 전달이 가능한 나노에멀젼 개발에 성공하였다. 본 나노에멀젼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진 최대 3개의 모델 약물 염료를 동시탑재 가능했으며, 이중 췌장암 치료제인 친수성(GEM) 및 소수성(PTX)약물을 나노에멀젼에 탑재하여 단일 GEM 또는 PTX가 탑재된 나노에멀젼 처리보다 췌장암 세포에서 더 높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올인원형태의 약물전달체 잠재력을 보여주었으며, ACS Applied Bio Materials 에 게재되었고, 저널커버에 선정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나노입자 기반의 약물전달체를 개발한 계획입니다. 1. 저자: Yeji Jeon, Jun Woo Park, Su Jin Lee, Ayun Seol, Yeojin Kim, Jeong Min Lim, Seong Gyu Choi, Juyong Gwak, Eunji Lee, Sang Myung Woo, Yun-Hee Kim, Dae Youn Hwang, and Sungbaek Seo* 2. 제목: Metal-Phenolic Coordination mediated Nanoemulsions for All-in-One Drug Delivery 3. 저널: ACS Applied Bio Materials, 온라인 게재 (2025. 03. 14.) [고분자콜로이드실험실] 계면활성제 구조에 따른 티타늄 분산 및 자외선 차단 효과 작성자 서성백 조회수 153 첨부파일 0 서성백 교수 연구팀은 계면활성제의 이온성 및 소수성 알킬 체인길이에 따라 티타늄의 분산 안정성 측정과 자외선차단 능력을 평가하였다. 계면활성제의 종류와 농도의 최적화만으로도 시중에 판매되는 자외선 차단 제품들보다높은 성능을 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AppliedSciences에 게재되었고, 후속 연구로 입자의 표면에 흡착이 가능한 친환경 계면활성제를개발할 계획이다. 1. 저자: Jaehun Mun,Yeji Jeon, Suhui Jeong, Jeong Min Lim, Yeojin Kim, Hwain Myeong, Jeongwoo Han,Youngwoo Choi, Seong-Min Jo, Seung Yun Yang, Beum-Soo An , Dae Youn Hwang andSungbaek Seo*2. 제목: IonicCharacter and Alkyl Chain Length of Surfactants Affect Titanium DioxideDispersion and Its UV-Blocking Efficacy3. 저널: AppliedSciences, 온라인 게재 (2024. 11. 27.) [고분자콜로이드실험실] 실리카 나노입자를 이용한 조직 접착제 개발 작성자 서성백 조회수 401 첨부파일 0 서성백 교수연구팀은 황대연 교수연구팀과의 공동연구로, 실리카 나노입자를이용하여 피부조직 창상의 봉합 및 빠른 치유가 가능한 조직 접착제 개발에 성공하였다. 실리카 나노입자는다양한 기질에서 높은 접착력을 가질 뿐 아니라 기존의 상용화된 조직 접착제와 비교하여 낮은 염증과 높은 조직재생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Journal of Functional Biomaterials (2023 IF = 5.0)에 게재되었고, 후속 연구로 지혈 기능성을가진 조직 접착제를 개발할 계획이다. 1. 저자: Yeji Jeon,Tae Ryeol Kim, Eun Seo Park, Jae Hyun Park, Han Sung Youn, Dae Youn Hwang* andSungbaek Seo*2. 제목: Effect ofSilica Nanoparticle Treatment on Adhesion between Tissue-like Substrates and InVivo Skin Wound Sealing3. 저널: Journal ofFunctional Biomaterials, 온라인 게재 (2024. 09. 09.) [고분자콜로이드실험실] 항산화 식음료의 폴리페놀 정량검출이 가능한 색변이 비드 센서 개발 작성자 서성백 조회수 342 첨부파일 0 서성백 교수연구팀은안범수 교수연구팀 및 중국 절강대학연구팀과의 국제공동연구로, 철이온-폴리페놀배위결합에 의한 색변이 반응을 이용하여 폴리페놀 검출키트 개발에 성공하였다. 휴대가 가능한 비드를 항산화식음료에 담궜다 뺀 후 색변이정도를 핸드폰으로 사진찍어 정량화 할 수 있어서 사용 용이성을 크게 향상시켰다.1~2분 이내로 신속한 검출이 가능하고, 검출의 민감도는 상용화된 Folin-Ciocalteu assay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앞으로도사용이 간편한 휴대용 비드형태의 다양한 센서를 개발할 계획이다. 1. 저자: Suhui Jeong§, So Young Kim§, HwainMyeong, Eun-Kyung Lim, Sung-Min An, Huiling Liang, Krishna K. Shrestha, MdSalah Uddin, Youngsuk Kim, Pyong-In Yi, Beum-Soo An*, and Sungbaek Seo*2. 제목: Microbead-BasedColorimetric and Portable Sensors for Polyphenol Detection3. 저널: ACS Omega, 온라인 게재 (2024. 08. 12.) [분자생물실험실] 아토피질환에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의약품 단일물질 개발 작성자 왕수하 조회수 327 첨부파일 0 분자생물실험실 황대연 교수연구팀과 나노대학교 정영화교수연구팀이 공동으로 마늘로부터 유해된 단일물질인 BMDA가 아토피질환에 우수한 효능을 나타냄을 최초로 규명하고 작용기전을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번 연구에서는 식품으로 섭취하는 마늘로부터 유래된 BMDA와 그 유도체가 DNCB로 유도된 아토피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효과와 염증을 억제하는 분자생물학적인 기전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과학적인 우수성을 인정받아 국제전문 학술지인 Scientific Reports에 2024년 3월에 게재되었다. 저자: JI En Kim, Phatcharaporn Budluang, Jumin Park, Kon Ho Lee, Sirichatnach Pakdeepromma, Chutima Kaewpiboon, Ho Young Kang, Dae Youn Hwang and Young?Hwa Chung제목: N-benzyl-N-methyldecan-1-amine, derived from garlic, and its derivative alleviate 2,4-dinitrochlorobenzene-induced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 mice 저널: SCientific Reports 14:6776 (2024) [분자생물실험실] 보체단백질 결핍에 의해 유발되는 변비의 새로운 치료제 개발 작성자 설아윤 조회수 249 첨부파일 0 분자생물실험실 황대연 교수연구팀은 변비질환의 새로운 원인으로 보체단백질(C3)가중요하게 작용함을 규명한 이후 이러한 변비질환의 치료제를 찾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번연구는 보체단백질유래변비가 맥문동과 uridine에 의해 효과적으로 개선됨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이러한 치료제들은 보체단백질 결핍모델동물에서 점액 분비 능력, 수분보유 능력, 장 신경계 기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였으며 변비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국제전문 학술지에 게재되었다.저자: Hee-Jin Song, Ji-Eun Kim, You-JeongJin, Yu-Jeong Roh, Ayun Seol, Tae-Ryeol Kim, Ki-Ho Park, Eun-Seo Park, Beum-SooAn, Seung-Yun Yang, Sungbaek Seo, Seong-Min Jo, Young-Suk Jung and Dae-YounHwang제목: Complement C3-Deficiency-InducedConstipation in FVB/N-C3em1Hlee/Korl Knockout Mice Was SignificantlyRelieved by Uridine and Liriope platyphylla L. Extracts저널: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Sciences, 2023, 24, 15757 [고분자콜로이드실험실] 천연페놀 약물전달체를 이용한 암세포의 침습성 약화 효과 작성자 정수희 조회수 222 첨부파일 0 서성백 교수연구팀은 연세 세브란스병원 양재문 박사연구팀과의 공동연구로, 페놀분자의 페놀성 수산기의수가 항산화 능력에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그 중 탄닌산(76%)은 표준 항산화물인 비타민 C (22%)보다 더 효과적인 항산화능력을 보였습니다.탄닌산으로 표면처리된 나노캐리어 약물전달체는 암세포의 활성 산소 종을 41%까지감소시키고 세포골격 네트워크를 리모델링했습니다. 이는 탄닌산기반 약물전달체가 암세포의 침습성을 약화할 수있는 가능성을 암시합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ACS Applied Material Interfaces (2021 IF = 10.383)에 게재되었고, 긍정적인 리뷰피드백을통해 저널커버에 선정되었습니다. 1. 저자: Jaewon Jung, Minhee Ku, SuhuiJeong, Nara Yoon, Jae Hyun Park, Han Sung Youn, Jaemoon Yang*, and SungbaekSeo*2. 제목: Antioxidative Impact ofPhenolics-Loaded Nanocarriers on Cytoskeletal Network Remodeling of InvasiveCancer Cells3. 저널: ACS Applied Material Interfaces, 온라인 게재 (2023.07. 12.) [분자생물실험실] 새로운 아토피질환 치료제 개발 작성자 설아윤 조회수 164 첨부파일 0 분자생물실험실 황대연 교수연구팀은 식품영양학과 이희섭 교수연구팀과 공동으로 소나무의 송진으로부터 추출한 Abietic acid가 아토피질환에 우수한 효능을 나타냄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송진으로부터 Abietic acid를 추출하는 새로운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아토피모델동물에서 이들 추출물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기전을 밝혔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과학적인 우수성을 인정받아 국제전문 학술지에 게재되었다. 저자: Jumin Park, Ji Eun Kim, You Jeong Jin, Yu Jeong Roh, Hee Jin Song, Ayun Seol, So Hae Park, Sungbaek Seo, Heeseob Lee and Dae Youn Hwang 제목: Anti-Atopic Dermatitis Effects of Abietic Acid Isolated from Rosin under Condition Optimiz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in DNCB-Spread BALB/c Mice. 저널: Pharmaceuticals 16:407. (2023) 처음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 다음 끝 처음 다음 끝